요즘 투자자들 사이에서 자주 들리는 말이 있죠.
“트럼프 아저씨, 또 뭐하셨죠…?”
맞습니다.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이 다시 고개를 들며 전 세계 금융시장에 적지 않은 충격을 주고 있어요. 이로 인해 어떤 자산은 급등하고, 어떤 자산은 급락하는 등 자산시장이 출렁이고 있죠.
오늘은 이 ‘상호관세 정책’이 자산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,
쉽고 알차게, 그리고 실전 투자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리해봤습니다.
상호관세란?
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하는 상호관세는 간단히 말하면 이런 겁니다:
“미국 제품에 타국이 관세를 매긴다면, 우리도 똑같이 관세를 매기겠다!”
일종의 **‘보복 관세’**죠. 말은 단순하지만, 글로벌 무역에 미치는 영향은 굉장히 복잡하고 광범위합니다. 수출입 기업부터 소비자, 심지어 중앙은행의 금 보유 정책까지 영향을 주는 수준이거든요.
하락 자산: 소비재 관련 주식
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본격적으로 언급되면, 가장 먼저 반응하는 쪽은 바로 소비재 관련 주식입니다. 특히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종목들이 영향을 크게 받아요.
대표적인 하락 자산
- 가전제품: 수출 –10% 시 주가 –8.0%
- 의류: –10% → –7.7%
- 화장품: –10% → –5.1%
- 자동차: –10% → –4.1%
이유는 간단합니다. 이들 업종은 완성품을 미국에 수출하는 구조라서 관세가 붙으면 가격 경쟁력이 곤두박질치고, 결국 소비자 선택을 받기 어려워지거든요.
예를 들어, 미국 소비자가 한국산 세탁기 대신 관세가 덜 붙은 멕시코산 제품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죠.
특히 화장품은 프랑스 등 경쟁 브랜드가 워낙 강해 관세가 붙으면 바로 고객을 뺏길 수 있어요.
상대적으로 안전한 자산: 중간재
반면, 철강·배터리·화학 등 중간재 기업들은 비교적 타격이 적어요.
이유는?
- 미국 내 중간재 수요는 지속 증가 중
- 트럼프의 관세가 주로 중국산에 집중됨
- 우리 기업들은 대체재로서 입지가 강화됨
실제로 중간재 수출 변동에 따른 주가 변화는 –3% 수준으로, 소비재보다 덜 민감하다는 게 특징이에요.
Tip: 특히 배터리 소재, 철강 기업은 미국 내 수요가 꾸준하기 때문에 지금 같은 관세 전쟁 국면에서도 '버틸 힘'이 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.
영향 미미한 자산: 헬스케어, 반도체, 조선
흥미롭게도, 관세 이슈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섹터도 있어요.
✔ 헬스케어: 신약 기술 계약 등 개별 이슈가 주가에 더 큰 영향
✔ 반도체: 독점 기술력과 글로벌 수요로 방어 가능
✔ 조선: 관세보단 수주 잔고가 더 중요한 변수
즉, 이들 업종은 트럼프의 트윗이나 기자회견에 크게 흔들리지 않는 종목군이라는 거죠. 이럴 때일수록 이런 자산에 눈을 돌려보는 것도 전략입니다.
상승 자산 1: 금 (Gold)
트럼프의 관세 소식이 터지면 금값은 거의 자동으로 반응합니다.
최근 금 가격은 온스당 3200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어요.
1년 새 무려 40% 상승, 단기간에 4% 급등하기도 했습니다.
그 이유는?
- 관세 → 경기 불확실성 증가 → 안전자산 선호 급등
- 달러 약세와 고물가 환경이 금 가격 상승을 부추김
- 세계 중앙은행의 금 매수량 증가 (3년 연속 1000t 이상)
특히 금은 '현물', 'ETF', '금통장' 등 다양한 투자 방식이 있어서 개인 투자자 접근성도 높아요.
상승 자산 2: VIX와 VKOSPI (공포지수)
변동성이 커지면 VIX 지수도 따라 오릅니다.
2025년 4월 기준으로, VIX는 50을 돌파했는데요. 이는 코로나 이후 최고 수치예요.
'VIX 지수란?
- 향후 30일간 시장의 변동성 기대치를 나타내는 지수
- 보통 20~30이면 보통, 40 이상이면 시장이 ‘매우 불안’한 상태
VIX와 VKOSPI가 상승하면 의미하는 것
- 시장은 ‘공포 국면’
- 주가는 흔들리지만, 변동성 상품이나 옵션 거래는 기회가 될 수 있음
결론: 지금 우리는 어떻게 대응할까?
트럼프의 관세 발언은 단기적인 충격을 주지만, 그 안에서도 기회는 분명히 존재합니다.
투자 인사이트 정리
- 소비재: 관세 세율과 경쟁 구조를 확인하고 대응
- 중간재: 방어력이 높아 저가매수 기회
- 헬스케어/반도체: 개별 이슈 중심, 관세 무풍지대
- 금/VIX: 불확실성 시기, 안전자산과 헤지 자산으로 주목
세상이 시끄러울수록, 우리는 더 차분하게 공부하고 준비해야 합니다.
변동성이 커지는 지금, 나만의 투자 전략을 세워보세요.
'About Money > 경제 트렌드, 트렌드를 알면 돈이 보인다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억 넣고 매달 150만원씩 받는 방법, 커버드콜 ETF (0) | 2025.04.15 |
---|---|
2025년 한국 경제 전망: 올해 우리나라는 얼마나 성장할 수 있을까? (1) | 2025.01.23 |
우주 기술의 상업화가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방법 (0) | 2025.01.18 |
경제학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개념 10가지 (0) | 2025.01.18 |
자율주행 기술이 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(0) | 2025.01.18 |